검색결과

[ 3건 ]
화재위험 3대 겨울용품 안전사용
화재위험 3대 겨울용품 안전사용
최근 기온이 떨어지면서 가정 및 사무실에서 난방용품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늘어난 겨울철 난방용품 사용만큼이나 화재발생 건수도 증가 하고 있는데, 이러한 난방용품을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전기히터 - 화재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전기히터류는 수건, 이불 등 가연물에 접촉, 낙하 및 복사열을 받아 불이 나는 경우가 많다. 전기히터의 강한 복사열은 소파나 방석 같은 잘 타는 물체가 직접 닿지 않고 곁에만 있어도 쉽게 화재를 일으킨다. 따라서 히터 주변에 탈 수 있는 가열물건을 방치하지 않는 것은 물론,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전원을 끄고, 콘센트에서 플러그까지 빼놓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 전기장판 - 전기장판 위에 두꺼운 모포를 덮은 상태에서 온도조절기를 고온으로 사용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전기장판의 가열방식 때문에 장판이 국부적으로 고온이 돼, 발열선과 반단선 또는 발열선과 신호선 사이에 국부적으로 누설 전류가 발생하고 그 부분이 과열돼 불이 나는 것인데, 작동시킨 후 온도가 적정수준에 도달하면 조절기의 설정 온도를 낮추고, 이불이나 모포 등을 장시간 깔아두지 않는 것이 좋고, 보관할 때는 접어서 보관하지 않도록 하고, 보관했다 재사용할 경우에는 1~2일 정도 정상작동 및 이상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하는 것이 현명하다. 전기장판의 특성상 전선을 덮고 있는 물질이 불에 잘 타는 가연물로 되어있어 화재의 확산이 매우 빠르고 위험하기 때문에 주의사항을 잘 지켜야 한다. △ 화목보일러 - 화목보일러는 주로 농촌에서 많이 사용하는데, 사용자가 대부분 고령이어서 유사시 대응능력이 떨어져 대형화재로 번질 우려가 있다. 화목보일러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일러를 불연재로 구획된 별도의 공간에 설치하고 보일러 주변 2미터 이내에는 가연물을 두지 않아야 하며 근처에 소화기를 비치해야 한다. 또한 건축물 접촉면으로부터 열 차단이 가능한 단열판을 설치하고 연통 안에 타르 등의 찌꺼기가 쌓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청소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불을 지펴둔 채로 장시간 출타하는 것을 삼가야 한다. 이와 같은 난방용품 안전수칙을 잘 지켜 안전하고 따뜻한 겨울을 보내자. 나주소방서 남평119안전센터 소방장 김동영
보성소방서 김 동 용 [투고],  정전기 얕보다간 큰코 다친다,
보성소방서 김 동 용 [투고], 정전기 얕보다간 큰코 다친다,
`정전기(靜電氣)`란 전하가 흐르지 않고 한곳에 머무르고 있다가 적절한 유도체에 닿는 순간 불꽃을 튀기며 이동하는 것이다. 주로 겨울철에 의류와 시트 등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기 쉽다. 순간 전압은 1만 5,000~2만 볼트(V)로 이는 전기라이터, 가스레인지 등의 점화장치 스파크와 동일한 수준으로 휘발유 등의 유증기를 점화시키는데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전기의 위험성에 대해 크게 인지를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전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유소 직원의 경우 방전복을 입거나 정전기 방지용 스프레이를 옷에 뿌려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유원이 없는 셀프주유소에서는 주유하기 전에 반드시 자동차 시동을 끄고 정전기 방전패드를 접촉한 후에 주유를 해야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운전자는 핸드크림을 바르거나 물수건으로 손을 닦는 행위만으로도 어느 정도 정전기 방지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일 주유 중 정전기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신속하게 소방서에 신고(119)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한다. 화재가 발생했을 때 놀란 마음에 주유기를 뽑았다가는 오히려 불을 더 크게 번지게 할 수 있고 기름이 사람에게 묻어 화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에 절대로 주유기를 뽑아서는 안 된다. 정전기 얕보다간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주유소나 이를 이용하는 시민들 모두 정전기 화재에 대한 위험성을 인지하고 예방에 대한 자발적인 참여로 나와 이웃의 귀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보다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